^*^----명 산(踏山)/仁 山 風 水 踏 山 記

보성오씨 - 오숙동 묘소

仁山 -세발낙지 2011. 4. 25. 10:59

1.踏山日時 :2011.04.24.일

2.踏山場所 :충북 청원군 현도면 달계1리

3.現地日氣 :4월의 봄이라 따뜻하고 답산하기에 아주 좋은 날씨

4.明堂의 特徵

   1)物形論 :마을이름이 달계리라서 그런지 금계포란형이라 하는데 청룡,백호가 감싸 안아주지 못해서 물형론이

                안맞는것 같다.

   2)明堂內歷(陰,陽宅) : 보성오씨 시조 오현필(賢弼)은 고려 고종때 보성군(寶城君)에 봉해져 본관을 보성으로 삼게 되었다.

                               보성오씨는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26명, 공신 3명을 배출하였다.

                               오숙동 선생은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역임한 오점(吳漸)공의 아들로 태어나

                               진의부위(進義副尉)를 지낸 인물이다.

                               선생이 이곳 현도에 터를 잡은 지 600년이 흘러 그의 자손이 3만명정도 된다고 함.                               

  3)入首龍 : 을진룡(관대룡)으로 입수하였다

   4)坐  向 : 묘비석에는 을좌로,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으로 나왔는데, 실제 라경은 진좌술향이다.              

   5)破  口 : 건해인지 신술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건해파로 좌선수 인듯 하다.

 

5.踏山後記 : 보성오씨 오숙동묘역 앞에 도착해 주차장에서 올려다 본 돌혈이 범상치 않다.

                좌측으로 오르는 계단을 타고 올라가니 혈판은 그리 크지 않으나 청룡과 백호가 잘 호위하고 있으며,

                국세가 잘 짜여진 느낌이 오나 금계포란형하고는 조금 거리가 있는듯하고 안산이 계곡사이로 있는것 같아

                약간은 불안한 느낌이 온다.그리고 묘소앞 전순이 짧고 고르지못해 약간은 후손들이 성격이

                독특하지 않나 보여진다.

                                 

6.현장사진

 

 보성오씨 사적비 - 새로단장을 했는지 깨끗하니 보기 좋습니다.

 

 주차장에서 올려다 본 돌혈 그러나 올라간 느낌은 다르다.

 

 

 보성오씨설단비 - 단만 모셔놓은 곳이다.

 

 

 

 

대종문 - 제각

 

 오숙동 묘역으로 오르는 계단

 

 보성오씨 - 오숙동 묘역

 

 입수부분

 

辛入乾富百萬庄

 

 진의부위 오 공 휘 숙동 지묘 - 을좌 

보성오씨대종단 충북 청원군 현도면 달계리 달계산 기슭에 있으며,

원주원씨 부인과 합장묘이다.
하늘이 내려준 달계산 기슭에 금계포란형의 대명당인 天作 의 大地 .
“달계”라는 지명도 이에 연유하고,

풍수지리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부러워하지 않을 수 없다.

좌.청룡, 우.백호, 주작. 현무. 전형적인 음택풍수의 표본으로,

 달계산의 주산에서 온 용맥이 횡룡하여,  

금계가 큰 알을 품는 것 같다.

그러나 안산에....?

 

 라경을 놓아 본 모습 - 진좌술향

 

 

 묘 뒤쪽에서 본 모습

 

 만두 부분인데 - 인작인듯하다.

 

 오숙동 묘역 뒤로 선대조 묘역

 

 

 묘역과 산신석

 

 

 오숙동 묘역 뒤로 올라가니 선대조 묘역에 산 짐승들의 장난인지 구멍을 파헤쳐져 있다.

오싹하다..

 

 

 묘역에 핀 할미꽃

 

 

 

 

 열공중인 회원님들...

 

 

 

 

 

 

 

 

 

 

永 吳 池 -융취수,진흥수

                                                               명당(明堂)은 상하(上下)로 다소 길게 펼쳐져 있었고,

 연못을 조성하여 순수국(順水局;去水局)을 비보(裨補)하였다.

물길은 내당(內堂)은 좌수도우(左水倒右)나 외당수(外堂水)는 우수도좌(右水倒左)로 합법하였다.

나경을 꺼내보니 진좌술향(辰坐戌向)에 술수구(戌水口)였으나 비문에는 을좌(乙坐)로 표기되어 있었다.

사람들은 이곳에 대하여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이라서 자손이 많이 퍼졌다고 말하곤 한다.


세계도
                     1세     2세     3세    4세     5세    6세     7세   8세   9세   10세   11세  12세
오첨ㅡ(생략)ㅡ현필ㅡ숙부ㅡ한경ㅡ기지ㅡ광신ㅡ사렴ㅡ천복ㅡ점ㅡ숙동ㅡ인정ㅡ수장
                                                                                        인헌ㅡ효원
                                                                                                효관
                                                                                         인후ㅡ옥순
                                                                                                 옥린
                                                                                                   

                       
                                                                                                                                                                                                                                 

'^*^----명 산(踏山) > 仁 山 風 水 踏 山 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한씨 - 한란 묘소  (0) 2011.04.25
은진송씨 - 송인수 묘소  (0) 2011.04.25
덕수이씨 선산(이순신부모묘)  (0) 2011.03.03
충무공 이순신 묘소  (0) 2011.03.03
이면공 묘  (0) 2011.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