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산(踏山)/仁山 산행자료집

도봉산 산행안내도

仁山 -세발낙지 2009. 12. 9. 16:52

도봉산 산행안내도

.다락능선일대 - 미륵봉으로 가는 코스
2.포대능선: 개구멍 바위, 송추계곡을 내려다보며 암벽을 돌아가는 코스: 포대능선으로 올라 가는 길은 안전장치가 충분하지만 그렇다고 쉽게 생각할 길은 아니다. 얼음이 얼든가 비가 오면 위험은 가중된다. 특히 쇠난간줄이 얼어있어서 잡을 때 미끄러울 경우 그 위험은 크다.
2.신선대오름길
3.자운봉. 충분한 확보물이 있어야 가능하다.
4.칼바위암릉(재수바위, 뜀바위, 칼바위)

도봉산의 특징:
도봉산은 결코 쉬운 산이 아니다.
도봉산의 산악미는 국내 제1급으로 빼어나다.
도봉산은 다양한 산행경험이 가능한 산이다.
도봉산의 아름다움은 둥글둥글한 돔형 바위봉우리들이 능선과 산사면 울창한 숲에서, 또는 아찔한 치마바위를 계곡바닥에 늘어뜨린 채 솟아있는데서 온다.
도봉산의 바위는 절리가 별로 없는 단단한 장년기의 바위이다.
절리의 스케일이 커서 강건하고 웅대한 느낌을 준다.

 

 

ㅇ도봉 주릉코스(6시간)
회룡골 매표소- (20분)- 회룡사 -(1시간 30분)- 포대터 -(5분)- 649봉

-(1시간)- 자운봉 -(1시간)- 오봉사거리 -(30분)- 우이암 -(1시간 30분)- 우이동 그린파크

ㅇ망월사코스(7시간 30분)
망월사역 - 매표소 - 원효사- 망월사- 716봉

- 자운봉- 주봉- 우이암- 원통사- 보문산장- 삼거리

ㅇ도봉동 1코스(6시간)
도봉동매표소 -도봉서원- 갈림길- 도봉산장- 천축사- 마당바위

- 정상(자운봉)- 우이암- 보문산장- 원통사- 우이동 유원지

ㅇ도봉동 2코스 (3시간 30분)
도봉동(40분) - 도봉산장(50분) - 자운봉(40분) - 포대능선 안부(35분)
-회룡사(40분) - 회룡동

ㅇ도봉동 3코스(3시간 30분 소요)
도봉동(40분) - 도봉산장(50분) - 자운봉(55분) - 우이암(55분) - 우이동




북한산 국립공원 동북쪽에 있는 도봉산은 최고봉인 자운봉(739.5m)을비롯해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 암벽이 아름답기로 이름난 산이다.화강암의 숲이 불꽃처럼 피어오른 암봉 북한산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국립공원중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공원 면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걸쳐 약 78.5㎢이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서울 도봉구 등 총 5개구와 경기도 고양시와 의정부시를 끼고 있는 도심 자연공원으로, 2천만 서울 시민들의 자연휴식처로 각광을 받고 있다. 북한산 백운대(836.5m)와 인수봉(810.5m), 도봉산 자운봉(739.5m)과 선인봉 등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진흥왕순수비, 북한산성 등의 문화자원을 지니고 있는 북한산국립공원은 도시에 둘러싸인 '고립된 생태섬'이지만 그 안에 1,300여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녹색 허파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2천만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인 북한산 국립공원은 장점은 무엇보다 수도권 어디에서도 접근이 비교적 쉽다는 점일 것이다. 수려한 자연풍광과 편리한 교통편 때문에 연평균 탐방 객수가 약 500만에 이르고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은 우이령을 중심으로 크게 북쪽의 도봉산과 남쪽의 북한산 지역으로 나뉜다. 북한산국립공원 가운데 가장 높은 봉우리인 백운대가 있는 북한산의 옛 이름은 삼각산으로, 백운대와 인수봉, 만경대를 서로 이으면 삼각형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런 산 이름을 얻게 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가운데 또 다른 축을 이루는 도봉산은 자운봉 정상 부근에 포대능선과 칼바위암릉, 만장봉과 주봉 등의 아름다운 봉우리가 있어 도봉산만 전문적으로 다니는 산행객이 생겨났을 정도로 일요일이면 도봉산 능선에는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북한산과 도봉산은 잘 발달된 거대한 화강암벽이 있어 전문 산악인들의 암벽 훈련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 봉우리를 중심으로 시작된 우리나라 산악운동은 훗날 전국으로 퍼져 나가게 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큰 축을 이루는 북한산과 도봉산은 주능선 부근의 깎아지른 화강암의 숲이 불꽃처럼 피어올라 우리나라 국립공원 가운데 수려하기로 이름이 높다. 이 때문에 매 주말마다 도봉산만을 고집스럽게 오르는 '도봉파'들은 도봉의 암봉과 암릉을 찾아다니며 도봉산의 수려한 멋을 한껏 즐기고 있다. 또한 도봉산은 명산으로도 소문나 있어 전국의 등산인이 한번쯤은 꼭 오르고 싶어하는 산으로 손꼽히고 있다. 도봉산의 주능은 크게 북쪽의 사패산을 중심으로 한 사패능선과 716.7m봉을 축으로 한 포대능선, 그리고 신선대에서 남쪽의 우이암으로 이어지는 도봉주능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봉산의 등산로는 이 능선들을 기본 축으로 하여 거의 동쪽으로 발달됐는데 그것은 서쪽이 군사지역으로 묶여 있기 때문이다.


날씨정보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과 나란히 솟아 있으며 북한산(55㎢)에 비해 절반(24㎢)정도의 면적이지만 산세가 아름다워 등산객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주능선상에는 최고봉인 자운봉을 비롯해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의 암봉과 서쪽으로 다섯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있는 오봉(五峰)이 있다.또 선인봉, 만장봉, 주봉, 우이암도 거대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사계절 모두
즐겨 찾는 산이지만 가을이면 단풍의 물결이 여느 산 못지않다. 도봉산의 3대 계곡은 문사동계곡, 망월사계곡(원도봉계곡), 보문사계곡(무수골)으로 이 계곡들이 바로 산행기점과 연결된다.도봉산은 등산코스가 다양한데 그 중에서 우이동, 도봉유원지, 망월사역(장수원), 서낭당 코스가 대표적이다.반면 빼어난 암벽을 자랑하는 도봉산은 어느 코스이든 위험이 곳곳에 도사리고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 갈림길이 무수히 많아 길을 잃을 수 있으므로 사전에 지도를 꼼꼼히 챙겨야 한다.


    제 1코스 (무수골 코스 2.1Km 1시간)
도봉역⇒무수골통제소⇒무수골⇒원통사⇒우이암
    제 2코스(우이암 A코스 2.6Km 1시간20분)
도봉탐방지원센타⇒광륜사⇒도봉서원⇒금강암⇒구봉사⇒성불사⇒천진사⇒보문능선⇒우이암
    제 3코스(우이암 B코스  2.5Km 1시간20분)
도봉탐방지원센타⇒능원사⇒도봉사⇒보문능선⇒우이암
    제 4코스(신선대코스 3Km 1시간30분)
도봉탐방지원센타⇒광륜사⇒도봉서원⇒도봉대피소⇒천축사⇒마당바위⇒관음사⇒신선대
    제 5코스(자운봉코스 3.2Km 1시간40분)
도봉탐방지원센타⇒광륜사⇒도봉서원⇒도봉대피소⇒만월암⇒포대정상⇒자운봉
    제 6코스(은석암코스 4.1Km 2시간10분)
도봉탐방지원센타⇒광륜사⇒은석암⇒다락능선⇒포대정상⇒자운봉
    제 7코스(주봉코스 3.4Km 1시간50분)
도봉탐방지원센타⇒광륜사⇒도봉서원⇒금강암⇒구봉사⇒성도원⇒거북바위⇒칼바위⇒도봉주능선⇒주봉
    제 8코스(오봉코스 4.6Km 2시간20분)
도봉탐방지원센타⇒광륜사⇒도봉서원⇒금강암⇒성도원⇒관음암⇒오봉능⇒ 오봉
    제 9코스( 우이동코스 7km, 3시간)
우이동⇒원통사⇒우이암⇒관음암⇒주봉⇒자운봉
    제 10코스 ( 3시간)
망월사역⇒원도봉통제소⇒망월사⇒다락능선⇒포대능선⇒자운봉⇒신선대
    제 11코스 ( 3시간)
망월사역⇒망월사통제소⇒원도봉계곡⇒망월사⇒민초샘⇒포대능선⇒자운봉
    제 12코스 ( 3시간)
망월사역⇒망월사통제소⇒원효사⇒포대능선⇒자운봉⇒신선대
    제 13코스 (회룡사코스 3시간)
회룡역⇒회룡통제소⇒회룡사⇒회룡골⇒사패능선⇒포대능선⇒신선대
 도로정보
경부고속도로⇒한남대교⇒건너 우측 강변북로⇒동부간선도로⇒수락역입구 좌회전⇒노원교 건너⇒도봉역 우회전⇒도봉산 입구 좌회전
중부고속도로⇒구리 IC⇒퇴계원 요금소 ⇒수락터널 ⇒의정부 하차⇒서울방향⇒도봉산입구 우회전
 대중교통
지하철 1.7호선  도봉산역 하차
수유역 141번 142번 도봉산 종점하차




  천축사 
도봉산 선인봉 남쪽에 자리한 절로 신라 문무왕 13년(673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가람을 둘러싸고 있는 선인봉의 장대한 암봉과기묘한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절경을 연출한다.
  송추유원지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울대리에 자리한 송추유원지는 50여년 동안 많은 사랑을 받아온 종합국민관광지로 수영장, 낚시터, 사격장, 골프장 등 각종레저.위락시설과 딸기, 복숭아, 배 등 현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과일을 맛볼 수 있다.
 만장봉(718m)
화강암의 희고 큰 바위벽이 하늘을 향해 1만 길이나 치솟아 만장봉(萬丈峰)이라 한다. 청나라 장수 원세개가 이곳에 왔을 때 이름을 붙였다는 설이 있다.
 망월사
포대능선 동쪽 기슭에 위치한 망월사(望月寺)는 신라 선덕여왕 8년(639)에 왕명을 받들어 해호 스님이 창건했다. 본디 번화를 싫어하고 도성에서 떨어져 있기를 좋아하던 해호가 이곳 암자에서 달을 보며 국가의 안위를 기도했다고 망월사라 부른다 . 근대의 고승인 만공, 한암, 성월스님 등이 후학을 가르치던 전통적 선원이다. 망월사 현판과 영산전 주련 4매는 청나라 원세개가 쓴 것이다.
 선인봉
선인봉은 높이 200m 폭 500여m의 화강암벽으로 1937년 국내 최초의 클라이밍 모임인 백령회가 개척 등반을 하였다. 북한산 인수봉과 도봉산 선인봉은 암벽꾼들에게는 메카와 같은 곳으로 해외 등반을 꿈꾸는 산악인들이 이곳에서 기량을 키운다.
오봉
다섯 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어 오봉(五峰)이라 한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키 순서로 나란히 솟아 있으며 다섯 봉우리를 다 오르려면 암벽등반을 해야 한다.
우이암
높이 60m의 바위로 소의 귀를 닮았다고 우이암(牛耳岩)이라 하며 우이동이란 지명이 이 곳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도 있다. 암벽 등반지로 1932년 일본인들이 처음으로 등반했다고 알려져 있다.
자운봉(739.5m)
도봉산 최고봉. 높은 산봉. 붉은 빛의 아름다운 구름이 걸려 자운봉(紫雲峰)이라 하며 불가에서는 상서로운 기운을 뜻한다.
주봉
자운봉에서 우이동 방향으로 300여m 내려가다 보면 좌측에 엄지손가락처럼 우뚝 솟아 있다. 높이 60여m로 서 있는 모습이 기둥같다 하여 주봉(主峰)이라 부른다.
천축사
신라 30대 문무왕13년(673년) 의상스님 창건. 중국의 만장봉 아래에 있는 천축사(天竺寺)에서 이름을 따왔다. 맑고 깨끗한 석간수가 유명하며 샘터 위에 백 년 넘은 보리수나무가 있다. 포대능선
도봉산 산행의 백미로 꼽는다. 자운봉(739.5m)에서 북쪽 사패산 쪽으로 뻗은 이 능선은 중간에 대공포진지가 있었다고 포대능성(砲臺稜線)이란 이름이 붙었다. 약 1km의 험한 암릉길을 오르내려야 하나 철난간이 설치되어 있어 안전하다. 휴일 인파가 몰릴 때는 우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봉산 관리사무소 전화 031- 873-2791 펙스 871-7972


정상사진
산행지도
 
도봉산 소개

|특징
도봉산은 서울 최북단에 위치한 산으로 북한산과 함께 북한산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다. 주능선상에는 최고봉인 자운봉(해발 740미터)을 비롯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의 암봉과 서쪽으로 다섯 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오봉을 이루고 있다.
도봉산의 3대 계곡은 문사동계곡, 망월사계곡(원도봉계곡), 보문사계곡(무수골) 이다. 이 계곡들이 바로 산행기점과 연결되고 있다.
도봉산을 처음 찾는 사람이라면 쉽게 오를 수 있고 코스도 다양한 문사동 코스가 적당하다.
숙박 및 연락처
도봉산장(903-5209), 관리 사무소(954-2566)
교통편
지하철 1호선 도봉산역에서 도보 또는 19번 일반버스 이용,1호선 망월사역에서 시내버스나 도보로 원도봉으로 이동, 의정부에서 망월사로 가는 12, 13번 버스 이용

|교통편
경기 양주군 장흥면, 의정부시, 서울시 도봉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명 산(踏山) > 仁山 산행자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백산 산행안내도  (0) 2009.12.09
수락산 산행안내도  (0) 2009.12.09
서울 관악산 산행안내도  (0) 2009.12.09
북한산 산행안내도  (0) 2009.12.09
우리나라 10대 명산  (0) 200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