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산/仁山 작은일상

임을 위한 행진곡

仁山 -세발낙지 2017. 5. 17. 11:43




"임을 위한 행진곡"


5월이 되면 생각나는 37년전의  5.18민주화 운동

보안사가 조직을 꾸려 폭동으로 몰았다는


민주화 운동

이제는 왜곡하지 말자.


지금 현시국에서 진실이 밝혀질려나...?





 “‘임을 위한 행진곡’은 4시간 만에 탄생한 노래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작곡한

김종률(59·현재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이하 사무처장)의 회상이다.

김 사무처장은 전남대 출신으로

 대학가요제에서 수상한 바 있다.

김 사무처장은 “돌아보면 1980년 5월부터 광주에서 봐왔던

모든 것이 그날 음악으로 응축돼 발현된 것 같다”고 말했다.


가사는 백기완 현 통일문제연구소장이

 1980년 12월 서대문구치소 옥중에서 지은

장편시 ‘묏비나리’를 바탕으로 황석영이 직접 썼다.


△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당시

전남대 경영학과 학생이었던 김종률이

 1982년 5·18 2주기를 기념하는 문화제를 준비면서 만들었다.


소설가 황석영의 제안으로

 제작한 30분 분량의 노래극

‘넋 풀이-빛의 결혼식’의

 마지막 곡으로 처음 쓰였다.


노래극의 주인공은 연인 사이였던 윤상원과 박기순이다.

시민군 대변인이었던 윤상원은 5·18 당시
 전남도청을 점거하다 계엄군에게 사살됐다.

이후 ‘야학’을 운영하다
 1979년 사망한 후배 박기순과 영혼결혼식을 치렀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노래극을 만들었다.










그네와 육사27기출신 박승춘


........남,여...그 들


그 들은 5.18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영욕의 날이 연속이였다면

이제는 치욕의 날이 연속일것이다.





잘해주세요....

다시는 이 땅에 이런 비극적인 사건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5·18 당시 '헬기 적전계획' 담은 육군본부 문서


 광주시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일빌딩에 대한 헬기사격이

육군본부 작전지침 가운데 'Hel기 작전계획 실시' 명령서에 따라

1980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 진압작전

공중 엄호 차원에서 감행됐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광주시가 공개한 육본 관련 작전지침.








"이 문장 빼" 5·18 직후 계엄군 언론 검열 신문 자료 공개


1980년 5·18 민주화운동 직후

계엄군의 언론 통제 실상을

 보여주는 신문 자료가 공개됐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옛 전남일보(현 광주일보 전신)

기자 출신 나의갑(현 광주시 5·18진실규명지원단 자문관)씨,

김성(정의화 전 국회의장 비서실장)씨가

보관 중이던 1980년 6월 4일자

옛 전남일보 3면 대장을 5·18민주화 운동기록관에 기증했다.

.

대장이란 신문이 제작되기 전 최종 교열을 위해 복사한 자료다.

이번에 공개된 대장에는 계엄군의 교열 지시로

기사가 삭제된 흔적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광주사태 본사 취재기자 방담(放談)'이라는

 내용의 이 대장에서는 제목 '무엇을 위한 항거였나'와,

본문에서 '시민정신' 등 20여개의 문장이나 단어가 삭제됐다.



누군지 잘 아실게요...이게 사람이냐...

짐슴같은 인간




인산펌

인산씀


2017.05.17.........5.18을 하루 앞둔 시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