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음 이덕형선생묘역 및 신도비
1.踏山日時 :2011.10.29.토
2.踏山場所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
3.現地日氣 :맑음
4.明堂의 特徵
1)物形論 :특별한게 없는듯 하다.
2)明堂內歷(陰,陽宅) :조선 중기의 문신인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1561∼1613),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
본관은 광주이다.명종 16년에 출생하여 광해군 5년 졸하였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민성(李民聖)의 아들이며, 영의정 이산해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문학에 통달하여 어린 나이로 양사언(楊士彦)과 가까운 사이였다.
또한 어렸을 때 이항복과 막역한 사이로 많은 일화가 알려져 있다.
선조 13년(158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쳤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적이 패수까지 올라와 화의를 청하자 이덕형은단독으로 적진에 들어가 대의로서
그들을 공박하였다.
그 뒤 정주까지 왕을 호종하였고, 청원사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명군의 파병을 요청하여 성취시켜 명장 이영송의
접반관으로 활약하였다.
정유재란시 좌찬성에 올랐고,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로 경상, 전라, 충청, 강원 4도체찰사를 겸하여
전란뒤의 민심수습과 군대의 정비에 노력하였으며,
이듬해 영의정이 되었다. 한때 영중추부사로 한직에 있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영의정에 복직되었다.
광해군 5년(1613) 영창대군의 처형과 폐모론을 반대하다가 삭직(削職)되었고,
이 때 양근에 내려와 국사의 그릇됨을 상소하며 세월을 보내다 53세로 병사하였다.
인조 때 복관되었고,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3)入首龍 :을진용(乙辰龍),좌이용법,우이용법
4)坐 向 :묘좌유향(卯坐酉向)
5)破 口 :신술파(辛戌破),당문파(當門破),내파(內破),좌우(左,右),합수(合水)
5.踏山後記 :부자(父子)상하(上下)로 모셔져있는데 진혈은 아닌듯 하다.
감히 초보꾼이 이런말을 해서 될련지 모르지만 조금 어설푼데 가 많이 보인다.
6.현장사진
한음 이덕형선생 영정각과 묘역으로 들어가는 철재 곡다리
영정각 입구 한원문
한음 이덕형선생 영정각을 모시는 쌍송재
묘역에서 바라본 안산의 모습
용맥이 흐름
한음 이덕형선생 묘와 부인 한산이씨 합장묘
한음 이덕형선생 묘역 석물들
한음 이덕형의 부 지중추부사 이민성의 묘
한음 이덕형의 부이며,지중추부사 이민성묘
600여년된 은행나무와 한음 이덕형선생 묘비석
2011.10.29.한음이덕형선생묘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