仁山 -세발낙지 2011. 2. 17. 12:24

 

         

 

 

정월 대보름의 유래

 

음력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
부럼깨기...땅콩,호두,잣 껍질이 딱딱한 과일
아침일어나서 바로 이걸 깨먹으면 피부에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더위팔기 매서(賣署)라고 합니다
친구이름을 불러대답하면 "내더위" 이렇게 말하면
그친구가 내 더위를 대신 먹는다는 뜻입니다

율력서(律歷書)
사람과 신이 하나로 이루어야 할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점쳐봅니다 한해의 행운을 가져온다고 합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초저녁에 햇불들고
달맞이 망월(望月)먼저달을 봐야 소원을 이룬다고 합니다


답교(踏橋)
지신밟기..풍물패들이 집집마다 돌며 흥겹게놀고 축원 합니다
다리밟기..대보름밤에 다리를 밝으면 일년내 다리병이 안난다고 합니다
민속놀이로는 나무쇠싸움,놋다리밟기,봉죽놀이,사자놀이,줄다리기,
고싸움놀이,관원놀이,농기세배,보름새기,제웅치리,나무조롱쇠기,
모기불놓기,방실놀이,뱀치기 등이 있습니다


대보름의 시절음식과 나물
오곡(찹쌀,찰수수,팥,차조,콩)을 섞어밥을지어먹습니다
아홉가지 나물에다 아홉번 다른 사람집의 밥을 얻어먹어야
그해 운이 좋다고 이집저집 다니면서 밥을 먹었습니다